https://mimicoding.tistory.com/55
소프트웨어 품질 관련 국제 표준 ISO/IEC 25000
소프트웨어 품질 관련 국제 표준 ISO/IEC 25000 - 소프트웨어 품질 평가를 위한 소프트웨어 품질 평가 통합 모델 표준입니다. - System and Software Quality Requirements and Evaluation으로 줄여서 SQuaRE라고도 합
mimicoding.tistory.com
https://velog.io/@namezin/GoF-design-pattern
GoF 디자인 패턴
Gang of Four Design Pattern
velog.io
https://gmlwjd9405.github.io/2018/05/10/algorithm-quick-sort.html
[알고리즘] 퀵 정렬(quick sort)이란 - Heee's Development Blog
Step by step goes a long way.
gmlwjd9405.github.io
https://itnovice1.blogspot.com/2019/08/nsnassi-schneiderman.html
[소프트웨어공학] NS(Nassi-Schneiderman) 차트
[소프트웨어공학] NS(Nassi-Schneiderman) 차트 NS(나씨 슈나이더만) 차트 모듈 명세서를 글로 쓸수도 있지만 N-S차트로 그림으로 그릴 수 있다. 플로우차트는 생각보다는 사용횟수가 많지 않다. 손으
itnovice1.blogspot.com
https://code-lab1.tistory.com/60#google_vignette
[운영체제]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FIFO/OPT/LRU/LFU/MFU)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Page Replacement Algorithm) 이전 포스팅으로 요구 페이징(Demand Paging)에 대해 알아보았다. 필요한 페이지가 메모리에 없을 때 page-falut가 발생하고 Backing Store에서 해당 페이지를
code-lab1.tistory.com
https://blog.naver.com/yoodh0713/221578462264
IGP & EGP 차이점 - 라우팅 프로토콜 개념
IGP & EGP 차이점 - 라우팅 프로토콜 개념 1. IGP (Internal Gateway routing Protocol) ...
blog.naver.com
[DB] 기본키 / 외래키 / 후보키 / 복합키 개념
키(key)는 DB에서 조건을 만족하는 레코드를 찾거나 순서대로 정렬할 때 레코드를 서로 구분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속성을 뜻한다. 키의 종류로는 다음과 같이 있다.Super key (수퍼키)Candidate key (후
velog.io
https://velog.io/@chy0428/DB-%EB%B7%B0View%EC%9D%98-%EA%B0%9C%EB%85%90%EA%B3%BC-%ED%8A%B9%EC%A7%95
[DB] 뷰(View)의 개념과 특징
뷰는 사용자에게 접근이 허용된 자료만을 제한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하나 이상의 기본 테이블로부터 유도된 이름을 가지는 가상 테이블이다.뷰는 저장장치 내에 물리적으로 존재하지 않지만,
velog.io
https://velog.io/@wisdom-one/정규화Normalization
정규화 (1NF, 2NF, 3NF, BCNF, 4NF, 5NF)
1. 정의 Normalization 관계형 데이터 모델에서 데이터의 중복성을 제거하여 이상 현상(Anomaly)을 방지하고, 데이터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유지하기 위해 무손실 분해하는 과정을 말한다. > #### 💡 이
velog.io
[운영체제] 디스크 스케줄링의 개념과 종류(FCFS, SSTF, SCAN, C-SCAN, C-LOOK)
디스크관리(Disk Management) 디스크는 가장 많이 사용하는 보조기억장치 중 하나로 마치 레코드판을 여러 개 중첩해서 놓은 것과 비슷하다. 디스크는 헤드(Head)가 임의의 섹터(Sector)f를 램덤하게 참
ohaengsa.tistory.com
https://4lugin.tistory.com/140
[네트워크] FLSM과 VLSM의 차이 및 특징
Definition 1. FLSM (Fixed Length Subnet Mask) - 서브넷의 길이를 고정적으로 사용하는 것 - 한 대역을 동일한 크기로 나누는 것을 "FLSM 방식으로 서브네팅 한다" 고 한다. 2. VLSM (Variable - Length Subnet Mask) - 서
4lugin.tistory.com
https://mjmjmj98.tistory.com/156
[OS] 프로세스(Process) vs 스레드(Thread)
프로세스와 스레드의 차이 💡 프로세스 실행 중인 프로그램 디스크로부터 메모리에 적재되어 CPU의 할당을 받는 작업의 단위 운영체제로부터 시스템 자원을 할당 받음 - CPU 시간, 주소 공간, 독
mjmjmj98.tistory.com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필기 2과목 오답노트 (0) | 2024.02.13 |
---|---|
정보처리기사 필기 1과목 오답노트 (0) | 2024.02.13 |
markdown 작성법 (0) | 2023.07.17 |
IT 기업 면접 후기 + 느낀점 (0) | 2023.03.24 |
명제 연습 (역, 이, 대우) (0) | 2023.03.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