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해싱 함수(Hashing Function)의 종류
👉 제곱법(mid-square)
👉 숫자분석법(digit analysis)
👉 제산법(division)
2. 인터페이스 구현 검증 도구 종류
👉 xUnit : JAVA(Junit), C++(Cppunit), .Net(Nunit) 와 같이 다양한 언어를 지원하는 단위 테스트 프레임워크
👉 STAF : 서비스 호출 및 컴포넌트 재사용 등 다양한 환경을 지원하는 테스트 프레임워크
👉 FitNesse : 웹 기반 테스트케이스 설계, 실행, 결과 확인 등을 지원하는 테스트 프레임워크
👉 NTAF : FitNesse의 장점인 협업과 STAF의 장점인 재사용 및 확장성을 통합한 NHN의 자동화 프레임워크
👉 Selenium : 다양한 브라우저 및 개발 언어를 지원하는 웹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프레임워크
👉 watir : Ruby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프레임워크
3. 테스트를 목적에 따라 분류했을 때, 강도(stress)테스트에 대한 설명
👉 시스템에 과다 정보량을 부과하여 과부하 시에도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를 테스트한다.
4. 스택을 이용한 연산
👉 재귀호출
👉 후위표현(Post-fix expression)의 연산
👉 깊이우선탐색
5. 소프트웨어 품질 측정을 위해 개발자 관점에서 고려해야 할 항목
👉 정확성
👉 무결성
👉 사용성
6.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워크스루(Walkthrough)에 대한 설명
👉 사용사례를 확장하여 명세하거나 설계 다이어그램, 원시코드, 테스트 케이스 등에 적용할 수 있다.
👉 복잡한 알고리즘 또는 반복, 실시간 동작, 병행 처리와 같은 기능이나 동작을 이해하려고 할 때 유용하다.
👉 단순한 테스트 케이스를 이용하여 프로덕트를 수작업으로 수행해 보는 것이다.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필기 4과목 오답노트 (0) | 2024.02.15 |
---|---|
정보처리기사 필기 5과목 오답노트 (1) | 2024.02.14 |
정보처리기사 필기 1과목 오답노트 (0) | 2024.02.13 |
정보처리기사 필기 공부하면서 참고한 사이트 (0) | 2024.01.24 |
markdown 작성법 (0) | 2023.07.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