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분류 전체보기188 쿠버네티스 특징 1. 선언적 API - 컨테이너가 어떤 상태이길 원하는지만 쿠버네티스에 설정하면 지속해서 컨테이너의 상태를 확인하고 맞춘다. 2. 워크로드 분리 - 쿠버네티스는 운영체제처럼 분산된 프로세스의 관리를 추상화하는 레이어가 됨 3. 어디서나 실행 가능 - 개인 컴퓨터에 쿠버네티스를 설치해서 사용해 볼 수 있고, 퍼블리 클라우드에서도 실행할 수 있으며, 단순한 테스트는 웹에서 사용해볼 수 있다. 4. 커뮤니티 - Kubernetes-users / kr-users 2022. 12. 27.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시스템 여러 대의 서버를 이용해서 하나의 상용 서비스를 구성한다. 이런 상용 서비스 구성에서 컨테이너만 단독으로 사용한다면 서버에 장애가 발생했을 때 해당 서버의 컨테이너를 다른 서버로 옮기는 등의 작업이 필요해진다. 하지만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시스템을 사용하면 수동 제어 부분 모두를 자동화하므로 시스템 운영이 훨씬 수월해진다.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시스템으로 상용 서비스에 사용할 서버들을 클러스터로 구성하면 한 번의 명령으로 자동 배포할 수 있다. (클러스터 : 여러 대의 서버를 묶어 시스템 하나로 구성하는 방식) 그리고 사용 중인 클러스터 일부에 장애가 발생하면 오케스트레이션 시스템은 알아서 장애가 발생한 서버에 있는 컨테이너들을 정상 운영 중인 다른 서버로 옮겨서 실행시킨다. 2022. 12. 27. 가상 머신과 컨테이너 비교 기존에 가상화나 클라우드 컴퓨팅을 설명할 때는 가상 머신을 많이 언급했다. 하지만 요즘은 가상 머신 < 컨테이너 이다. 컨테이너로 구성한 애플리케이션 앱A 앱B 앱C 앱D 앱E 앱F 도커 호스트 운영체제 인프라스트럭처 가상 머신으로 구성한 애플리케이션 가상 머신 가상 머신 가상 머신 앱A 앱A 앱A 게스트 운영체제 게스트 운영체제 게스트 운영체제 하이퍼바이저 인프라스트럭처 컨테이너가 구조상 레이어가 더 간단하므로 가상머신보다 성능을 높이기 쉽다. 컨테이너가 새로운 것은 아니지만 도커가 컨테이너를 사용하기 편하게 만들면서 애플리케이션 개발 과정 전체에 혁신을 가져왔다. 컨테이너를 이용하면 개발 환경과 운영 환경의 차이 때문에 일어나는 많은 장애를 막을 수 있다. 2022. 12. 26. 2023년 주니어 개발자 목표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2. 12. 26. 적절한 인증 없는 중요기능 허용 - 안전하다고 확인된 라이브러리나 프레임워크를 사용한다. 즉, OpenSSL 이나 ESAPI의 보안기능을 사용한다. 안전하지 않은 코드 ▼ public void sendBankAccount(String accountNumber, double balance) { BankAccount account = new BankAccount(); account.setAccountNumber(accountNumber); account.setToPerson(toPerson); account.setBalance(balance); AccountManager.send(account); } 안전한 코드 ▼ public void sendBankAccount(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ssion s.. 2022. 11. 21. 이전 1 ···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