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쿠키는 민감한 정보를 다루기엔 위험하다.
하지만 세션은 서버가 직접 관리하므로 민감한 정보를 다루기에 더 적합하다.
‘로그인’ 정보 유지가 대표적이다. - 세션 : 클라이언트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서버에 접속한 후 용무를 처리하고 웹 브라우저를 닫아 서버와의 접속을 종료하는 하나의 단위를 세션이라고 한다.
즉,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해 있는 동안 그 상태를 유지하는 것 - 세션은 웹 브라우저를 실행할 때마다 새롭게 생성된다.
유지시간이 만료되기 전에 새로운 요청이 들어오면 수명이 계속 연장됨.
웹 브라우저를 닫으면 삭제된다.
- 세션 유지시간 설정법1 : web.xml에서 설정
<session-config>
<session-timeout>20</session-timeout>
</session-config>
- 세션 유지시간 설정법2 : JSP 파일에서 sessison 내장 객체가 제공하는 setMaxInactiveInterval()
<%
session.setMaxInactiveInterval(1800);
%>
- 로그아웃처리
<%
//방법 1 : 회원인증정보 속성 삭제
session.removeAttrivute("userId");
//방법 2 : 모든 속성 한꺼번에 삭제
session.invalidate();
//속성 삭제 후 페이지 이동
response.sendRedirect("LoginForm.jsp");
%>
쿠키 vs 세션
쿠키 | 세션 | |
저장 위치/형식 | 클라이언트 PC에 text로 저장된다. | 웹 서버에 Object 타입으로 지정된다. |
보안 | 클라이언트에 저장되므로 보안에 취약 | 서버에 저장되므로 보안에 안전 |
자원/속도 | 서버 자원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세션보다 빠름 | 쿠키보다 느림 |
용량 | 용량 제한 있음 | 서버 허용 기준 |
유지 시간 | 쿠키 생성 시 설정되고,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무조건 삭제 | 설정된 시간 내 동작이 있으면 유지됨 |
더보기
개요
> 쿠키(Cookie), 세션(Session) 각각 특성 및 차이 확실히 분류하기 |
메모
1. 공통점 : 웹 통신간 유지하려는 정보(ex:로그인 정보 등)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 2. 차이점 : 저장위치, 저장형식, 용량제한, 만료시점 등 (해당 포스트 하단에 '표'로 정리됨) 쿠키 : 개인 PC에 저장됨. 세션 : 접속중인 웹 서버에 저장됨. * 위 내용 관련하여 조금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내용" 참고하세요~ |
내용
쿠키와 세션을 사용하는 이유 HTTP 프로토콜의 특징이자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1. Connectionless 프로토콜 (비연결지향)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Request)을 했을 때, 그 요청에 맞는 응답(Response)을 보낸 후 연결을 끊는 처리방식이다. - HTTP 1.1 버전에서 연결을 유지하고, 재활용 하는 기능이 Default 로 추가되었다. (keep-alive 값으로 변경 가능) 2. Stateless 프로토콜 (상태정보 유지 안함)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가지지 않는 서버 처리 방식이다. 클라이언트와 첫번째 통신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았다 해도, 두번째 통신에서 이전 데이터를 유지하지 않는다.
따라서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누구인지 계속 인증을 해줘야 한다. 하지만 그것은 매우 귀찮고 번거로운 일이다. 또한 웹페이지의 로딩을 느리게 만드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그런 번거로움을 해결하는 방법이 바로 쿠키와 세션이다. 정리하면, 클라이언트와 정보 유지를 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쿠키와 세션이다. Q. 세션을 쓰면되는데 굳이 쿠키를 사용하는 이유? A. 세션이 쿠키에 비해 보안도 높은 편이나 쿠키를 사용하는 이유는 세션은 서버에 저장되고, 서버자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많을 경우 소모되는 자원이 상당하다. 이러한 자원관리 차원에서 쿠키와 세션을 적절한 요소 및 기능에 병행 사용하여, 서버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며 웹사이트의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쿠키(Cookie) HTTP의 일종으로 사용자가 어떠한 웹 사이트를 방문할 경우, 그 사이트가 사용하고 있는 서버에서 사용자의 컴퓨터에 저장하는 작은 기록 정보 파일이다. HTTP에서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클라이언트의 PC에 저장하였다가 필요시 정보를 참조하거나 재사용할 수 있다.
일정 시간동안 같은 사용자(브라우저)로부터 들어오는 일련의 요구를 하나의 상태로 보고, 그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기술이다. 여기서 일정 시간은 방문자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웹 서버에 접속한 시점으로부터 웹 브라우저를 종료하여 연결을 끝내는 시점을 말한다. 즉, 방문자가 웹 서버에 접속해 있는 상태를 하나의 단위로 보고 그것을 세션이라고 한다.
![]() |
728x90
'HTTP'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 메서드 (0) | 2023.05.06 |
---|---|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0) | 2023.05.05 |
URI와 웹 브라우저 요청 흐름 (0) | 2023.04.24 |
HTTP 에러 코드 : 404 405 500 (0) | 2023.03.17 |
인터넷 네트워크 (0) | 2023.03.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