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 마스터 (노드) : 클러스터를 관리
- 노드들의 상태를 관리하고 제어한다.
- 쿠버네티스의 데이터 저장소로 사용하는 etcd를 함께 설치하거나
별도 노드에 분리해서 설치하기도 한다.
- 상용 서비스라면 보통 고가용성을 고려해 3대나 5대로 구성한다. (많다고 성능이 향상되는 건 아님)
- kube-controller-manager가 활성화 상태로 동작할 수 있는 리더 마스터 노드는 1대 (나머지는 대기)
- etcd, kube-apiserver, kube-scheduler, kube-controller-manager, kubelet, kube-proxy, docker 등의 컴포넌트가 실행됨
2. (워커) 노드 : 실제 컨테이너를 실행시킴
- 초기에는 미니언이라고 불림
- 마스터 노드의 명령을 받아 사용자가 선언한 파드나 잡을 실제 실행
- kubelet, kube-proxy, docker등의 컴포넌트가 실행됨
파드(Pod) : 쿠버네티스에서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는 배포 가능한 가장 작은 컴퓨팅 단위
잡(job) : 하나 이상의 파드를 지정하고 지정된 수의 파드를 성공적으로 실행하도록 하는 설정
각 컴포넌트의 중심에 kube-apiserver 가 있다.
etcd에는 kube-apiserver만 접근할 수 있다.
kubelet이 마스터에 있는 도커를 관리 (노드도 마찬가지)
etcd는 컨테이너가 아니라 별도의 프로세스로 설정되어 있다.(컨테이너로도 설정 가능)
728x90
'△ >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버네티스의 주요 컴포넌트 (1) 마스터용 컴포넌트 (0) | 2023.01.03 |
---|---|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쿠버네티스 도구 &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직접 구성하는 도구 (0) | 2022.12.27 |
쿠버네티스 특징 (0) | 2022.12.27 |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시스템 (0) | 2022.12.27 |
가상 머신과 컨테이너 비교 (0) | 2022.12.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