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설명
프로그래머스 팀에서는 기능 개선 작업을 수행 중입니다. 각 기능은 진도가 100%일 때 서비스에 반영할 수 있습니다.
또, 각 기능의 개발속도는 모두 다르기 때문에 뒤에 있는 기능이 앞에 있는 기능보다 먼저 개발될 수 있고, 이때 뒤에 있는 기능은 앞에 있는 기능이 배포될 때 함께 배포됩니다.
먼저 배포되어야 하는 순서대로 작업의 진도가 적힌 정수 배열 progresses와 각 작업의 개발 속도가 적힌 정수 배열 speeds가 주어질 때 각 배포마다 몇 개의 기능이 배포되는지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세요.
제한 사항
작업의 개수(progresses, speeds배열의 길이)는 100개 이하입니다.
작업 진도는 100 미만의 자연수입니다.
작업 속도는 100 이하의 자연수입니다.
배포는 하루에 한 번만 할 수 있으며, 하루의 끝에 이루어진다고 가정합니다. 예를 들어 진도율이 95%인 작업의 개발 속도가 하루에 4%라면 배포는 2일 뒤에 이루어집니다.
입출력 예
progresses speeds return
[93, 30, 55] [1, 30, 5] [2, 1]
[95, 90, 99, 99, 80, 99] [1, 1, 1, 1, 1, 1] [1, 3, 2]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첫 번째 기능은 93% 완료되어 있고 하루에 1%씩 작업이 가능하므로 7일간 작업 후 배포가 가능합니다.
두 번째 기능은 30%가 완료되어 있고 하루에 30%씩 작업이 가능하므로 3일간 작업 후 배포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전 첫 번째 기능이 아직 완성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첫 번째 기능이 배포되는 7일째 배포됩니다.
세 번째 기능은 55%가 완료되어 있고 하루에 5%씩 작업이 가능하므로 9일간 작업 후 배포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7일째에 2개의 기능, 9일째에 1개의 기능이 배포됩니다.
입출력 예 #2
모든 기능이 하루에 1%씩 작업이 가능하므로, 작업이 끝나기까지 남은 일수는 각각 5일, 10일, 1일, 1일, 20일, 1일입니다. 어떤 기능이 먼저 완성되었더라도 앞에 있는 모든 기능이 완성되지 않으면 배포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5일째에 1개의 기능, 10일째에 3개의 기능, 20일째에 2개의 기능이 배포됩니다.
처음 풀었던 풀이
import java.util.*;
import java.lang.*;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progresses, int[] speeds) {
int[] answer = {};
int[] days = new int[progresses.length];
for(int i = 0 ; i < days.length ; i++){
days[i] = (int)Math.ceil((float)(100-progresses[i])/speeds[i]);
}
Queue<Integer> q = new LinkedList<>();
int tmp = days[0];
int cnt = 1;
for(int j = 1 ; j < days.length ; j++){
if(days[j] <= tmp){
cnt++;
}else{
q.add(cnt);
cnt = 1;
tmp = days[j];
}
if(j==(days.length - 1)){
q.add(cnt);
}
}
answer = new int[q.size()];
int k = 0;
for(int num : q){
answer[k++] = num;
}
return answer;
}
}
1) 각각 작업별 완료 일수를 올림으로 구해서 저장해줍니다.
days[i] = (int)Math.ceil((float)(100-progresses[i])/speeds[i]);
100(완성) - (완료되어있는 진행률) / (스피드)
예를 들어 2.xxx 이면 2일 보다 더 걸리기 때문에 3을 return 해 주고 저장해줍니다.
[93, 30, 55] [1, 30, 5] 일 경우 [7,3,9] 가 저장됩니다.
2) 맨 처음 걸리는 날짜를 tmp에 저장해주고, 완료 일수를 구한거기 때문에 1개의 작업은 완료가 된 상태이므로 기본 카운트를 1부터 시작합니다.
만약 첫번째 작업 완료 일수보다 두번째 작업 완료 일수가 적거나 같으면 두번째 작업 완료의 의미로 +1을 해주는 것.
만약 두번째 작업 완료 일수가 더 크다면 더 진행할 수 없으므로 1을 반환하고 누적 카운트를 queue에 저장해주고 tmp를 두번째 작업 일수로 설정해둡니다.
3) 마지막 작업 순서일 경우 더 반복문이 돌아갈 수 없기 때문에 무조건 누적 카운트를 queue에 저장해줍니다.
4) 모인 queue를 answer array로 변환
하지만 이렇게 길게 풀고 넘겼더니 다른 사람의 풀이에서 신박한 람다식 풀이법을 봐버렸다.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Arrays;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progresses, int[] speeds) {
int[] dayOfend = new int[100];
int day = -1;
for(int i=0; i<progresses.length; i++) {
while(progresses[i] + (day*speeds[i]) < 100) {
day++;
}
dayOfend[day]++;
}
return Arrays.stream(dayOfend).filter(i -> i!=0).toArray();
}
}
와우 간결하다.
1) "작업 진도는 100 미만의 자연수입니다. 작업 속도는 100 이하의 자연수입니다." 를 바탕으로 최대 100개의 배열을 초기 설정해줍니다.
int[] dayOfend = new int[100];
2) 현재 진행률 + (날짜 * 속도) 가 100을 넘기기 전까지 반복문을 돌려 몇일이 걸리는지 구한다.
while(progresses[i] + (day*speeds[i]) < 100) {
day++;
}
3) 반복문이 끝났다면 day 번째 배열의 숫자에 1을 더해준다.
dayOfend[day]++;
day는 초기화 시키지 않는다.
왜냐하면 어차피 전 작업이 끝나야 다음 작업을 배포할 수 있기 때문에
전 작업이 끝나는 날 + 가 되어야 한다.
그러면 0, 0, 0, 1, 0, 0, 2 이런 식으로 0이 아닌 숫자가 배열에 나타난다.
4) 람다식으로 필터를 걸어서 0이 아닌 수를 출력하면 완성
return Arrays.stream(dayOfend).filter(i -> i!=0).toArray();
람다식이 익숙하지 않아 이 방법을 고안해내지 못했다.
람다식에 더 익숙해지도록 하자!
'CodingTe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딩테스트] 프로세스 JAVA / Priority Queue (우선순위 큐) (0) | 2025.01.07 |
---|---|
[코딩테스트] 올바른 괄호 JAVA Stack (0) | 2024.12.24 |
[코딩테스트] 같은 숫자는 싫어 JAVA Queue (0) | 2024.12.23 |
[코딩테스트] 의상 JAVA HashMap (0) | 2024.11.22 |
[코딩테스트] 전화번호 목록 JAVA HashSet (0) | 2024.11.22 |
댓글